[리뷰] 제16회 서울변방연극제 - 연극이라는 광장에서, 몸이라는 극장에서 <프릭 쇼>

2014. 8. 3. 10:24Review

 

제16회 서울변방연극제

연극이라는 광장에서, 몸이라는 극장에서

나를 인정하기 <프릭 쇼>

 

글_정은호

 

이 글은 장애인이 가지는 신체적 불편함을 이해하지 못하는 비장애인의 입장에서 서술되었다. 따라서 이 글은 “프릭 쇼”라는 장애인 극을 진행했던 그들의 입장과 감정을 온전히 드러내는데 실패하는 글이 될 수도 있다. 나는 연극을 보며 그들을 이해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그것은 거짓이기 때문이다.

나는 사지가 멀쩡한 인간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장애인보다 나은 인생을 살고 있다고도 단언하지 못한다. 개개인의 행복감은 신체적 결함에서 기인하지 않는다. 이 글은 여태까지 장애인들을 “장애인”이라는 언어 그 자체가 가지는 기호, 즉 객체로서 바라바 왔던 자가, 그들도 욕망을 가진 하나의 주체였음을 깨닫게 되는 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글이 그 깨달음에 도달하는 데 성공할 것이라고 장담하지 못한다. 이 글은 실패한 글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럼에도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 이 글을 써본다.

 

 

프릭쇼는 총 9개의 옴니버스식 챕터로 구성되었다. 각 챕터마다 각 배우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작은 연극을 만들었다. 연극 무대 뒤에는 스크린이 마련되어 있었고, 챕터가 바뀔 때마다 스크린에 극의 제목이 표시되었다. 첫 챕터에는 전신을 움직이지 못하는 남자 배우가 전동 휠체어를 타고 무대로 올라왔다. 그는 앞으로 진행될 연극의 방향과 내용을 소개했다. 그는 자신이 이 무대에 올라온 이유 중 하나는 여자 친구를 만들기 위해서라고 반 농담 식으로 이야기했다. 외적으로 보이는 장애의 이미지를 벗기고 나면 자신도 하나의 일반적 욕망을 가진 인간이라는 것, 그것이 그가 말하는 내용의 요지가 아니었을까하고 나는 생각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그가 말하는 일상의 슬픔이 그의 장애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연인의 부재에서 출발한다는 것이었다.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을 볼 때, 우리가 바라보는 그들의 고통은 대개 ‘신체의 불편함’ 하나로 단순화 되어있다. 하지만 그가 말하는 자신의 슬픔은 장애가 아니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연인의 부재, 외로움이었다. 그는 자신도 연애를 하고 싶다며, 담담히 스스로의 욕망을 밝혔다. 아까부터 눈길이 가던 분이 계시다며, 관객 한 명을 불러내어 무대 위에서 잠깐 소개팅의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연극적 요소가 토대가 된 행동이었겠지만, 그의 말들이 무척 일상적으로 느껴져서 나는 놀랐다. 그는 어디에 두어도 이상할 것 없는 일반인이었다.

 

 

연극의 챕터 중 하나인 ‘독립사건’에는 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여성 배우 한 명이 휠체어를 타고 등장했다. 그녀는 극 속에서 물리학을 연구하는 교수였다. 평생을 바쳤던 물리학 연구가 실패로 돌아간 탓에, 그녀는 도저한 절망감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였다. 결국 그녀는 자신의 중요한 가치였던 연구의 실패를 견디지 못하고 자살을 결심한다. 옥상에서, 그녀는 방백을 시작 한다. 실패의 좌절감으로 자살하기 위해 옥상에 올라왔지만 자살할 수가 없다고, 그 이유는 주위의 사람들이 자신의 죽음을 연구의 실패로 인한 고통으로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사망 원인을 연구의 실패가 아닌, 장애의 고통으로 바라 볼 것이며, 그것이 그녀에게는 참을 수 없는 억울함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녀는 나체의 상태로(그녀는 연극 속에서 살색 옷을 입고 무대 위에 올라왔다.) 죽기로 결심한다. 자신이 나체로 죽는다면 사람들은 죽음의 원인을 장애에서 찾기는 힘들 것이라는 게 그녀의 생각이었다. 그것은 장애인을 바라보는 획일화된 사람들의 시선에 저항하는 그녀만의 방식이었다. 이것은 희극적 요소다. 연극 전체를 관통하는 사상인, “장애와 극복은 거리가 먼 단어다.”를 보여주는 장면이기도 하다. 왜 장애를 가지게 된 자들은 그 불구를 극복해야만 하는가, 이런 사상은 그들에게 일종의 폭력이자 압력임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 장애는 그냥 존재하는 것이었다. 그것을 변형하는 순간, 그것은 오히려 극복의 탈을 쓴 도피가 될 수도 있다. “프릭 쇼”의 장점은 장애의 슬픔을 웃음으로 승화해낸다는 것이다. 모든 9개의 챕터에는 삶의 씁쓸한 웃음이 깃들어 있었다. 그 웃음들이 결국, 이 어찌할 수 없는 삶을 다시 긍정하게 만든다.

 

 

“프릭 쇼”에서 모든 챕터들은, 이렇게 어찌할 수 없는 삶을 긍정하는 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놀랍다. 그들은 장애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를 긍정한다. 긍정할 수밖에 없음을, 그들은 알고 받아들인다. 나는 이 자세가 좋다. 예술이 태도의 창조라면, 그들은 이 연극을 통해서 훌륭한 태도를 하나 창조해냈다고 보아도 옳을 것이다. 연극이 끝난 뒤,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서 한 비장애인 연출가가 얘기한 말이 기억에 남는다. 장애를 가진 이들과 같이 생활을 해 보니, 그들도 나와 동일한 인간이라는 것을 느꼈다고 그는 얘기한다. 그들은 때때로 소심하고, 이기적이기도 하다. 그들은 때때로 따뜻하고, 인간적이기도 하다. 사람들이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이 너무 단순화되어있는 것이 아닌가, 그는 그런 걱정이 들었다고 말했다. 절로 동의가 되는 말이었다. 장애를 가진 이들을 나와 격리시켜 애초에 다른 존재로서 바라보는 행위는 잘못된 점이 있다. 외면의 껍질을 벗겨내고 나면 그들도 결국 일상에 기뻐하고, 분노하는 하나의 인간이다. 그들도 연인이 없으면 외로워하고, 배가 고프면 맛있는 밥을 먹길 원한다.

또 다른 챕터 “꿈”에서는, 언어 장애를 가진 한 여성이 아나운서가 되기 위해 분투하는 장면이 그려진다. 그녀는 관객들에게 웃는 얼굴로 자기소개를 한다. 말은 관객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녀의 발음은 명확하지 않다. 그런데도 나는 그녀의 말을 모두 이해한 기분이 들었다. 뉴스의 발음을 정확히 따라하려 애쓰지만 결국 실패하고 좌절하는 여성에게서 느끼는 건 결핍에 대한 짙은 슬픔이다. 이 연극의 감동적인 부분은 그녀의 꿈이 계속 바뀐다는 것이었다. 그녀는 이제 아나운서를 멈추고 발레를 연습한다. 그녀는 계속해서 새로운 꿈을 찾아 나선다. 비록 그 꿈에 실패가 있을 수 있더라도, 꿈을 찾아가는 그녀의 과정만으로도 삶은 유쾌해진다. 결핍을 긍정하는 태도는 그 자체로 관객들에게 위로가 되고, 감동이 된다.

 

 

“프릭 쇼”는 배우들이 스스로 장애인이라는 프레임 안으로 들어가길 자처한 연극이다. 연극의 메시지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키는 데 있기 때문에, 그들은 일차적으로 사람들에게 격리된 대상이 되기를 자처해야했다. 나는 이 용기에도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들은 일반적 연극을 기획해도 되었다. 장애라는 맥락 속의 연극이 아닌, 일반적 희노애락을 그리는 연극을 해도 충분했다. 그런데도 그들은 괴물이라는 뜻의 "Freak"을 연극의 제목으로 세우고 그 안으로 뛰어들었다. 관객들의 인식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인식 이전을 보여 줄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나와 다른 이들이 나를 바라보는 폭력적 시선으로 들어가길 자처한다는 것, 이것은 매우 두려운 행위다. 공포가 따라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도 그들은 그 시선을 견디며 자기 삶의 태도를 당당히 드러내주었다. 관객의 입장에서 박수를 치지 않을 수 없다. “프릭 쇼”의 감동에는 이러한 이유가 깃들어있다.

“프릭 쇼”는 장애인 배우들이 많이 등장한 연극이었다. 비장애인 배우들이 장애인 배우들의 신체적 움직임을 배려하며 진행되는 연극은, 기묘한 위로를 나에게 안겨주었다. 그것은 일상에서 놓칠 수 있는 사소한 배려들을 그대로 연극이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거동이 불편한 이를 돕는 것이 의무나 수단이 아닌 목적 그 자체가 될 수 있다면, 그 작은 도움들이 그들에겐 진정한 배려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생겨났다.

 

 

연극의 끝 무렵에는, 처음에 등장했던 남자 배우가 다시 무대로 올라왔다. “속에”라는 제목을 단 이 연극의 마지막 챕터다. 무대 속에서, 비장애인들 속에서, 어떠한 집단 속에서, 장애인들이 삶을 긍정하며 사는 방식을 연극은 보여주었다. 무대 뒤의 스크린에서는, 청각 장애인 관객들을 배려하기 위해, 그리고 성대가 불편해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배우들을 배려하기 위한 한글 파일이 떠 있다. 타이피스트가 그들의 말을 스크린에 옮겨 적는다. 섬세한 배려다. 전동 휠체어 위에서 그는 연극은 어떠셨냐며 관객들에게 물었다. 관객들은 박수로 응답했다.

“프릭 쇼”에서 배우들은 장애인들에게 현 사회가 부여하는 숙명인, ‘극복’에서부터 벗어난다. 장애인들은 삶을 극복하고, 그를 통해서 비장애인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존재가 아니다. 너무 많은 다큐멘터리와 매체들이 숭고를 그들에게 강요해왔다. 그것이 직접적이었든, 간접적이었든, 그 사상은 보편적으로 사람들에게 퍼져 있다. 연극을 보고 나는 나 자신에게 자문해보았다. 나는 나를 둘러싼 환경을 온전히 극복해내고 있는가? 답은 ‘아니요’였다. 나조차도 나의 운명을 극복하지 못하는데, 나와 다를 바 없는 저들이 왜 운명을 극복해야한단 말일까. 또한 왜 비장애인들은 장애인을 보면서 힘을 내야 하는가. 나와 전혀 다를 바가 없는 이들일 텐데 말이다. 하나의 인간적 욕망을 지닌 사람으로서 배우들은 무대를 꾸민다. 그때 나는 그들에게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그들은 스스로를 동정의 대상으로도, 부정하고픈 대상으로도 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자신을 긍정했다. 나 자신을 긍정한다는 것, 그것은 나의 인생에도 주어진 과제였다. 그들의 연극을 보며 나는 조금은 깨닫게 되었다. 나는 나를 이겨낼 필요가 없다. 다만 긍정하면 되었다.

 

*사진제공_서울변방연극제

필자_정은호

소개_ 시를 공부하고 있다. 무엇이 되고 싶다는 마음은 없으나 미래에도 계속 시를 쓰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프릭쇼_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

7.19(토)-20(일) 18:00 / 문화역 서울 284 RTO 공연장

--------------------------------------------------------------------------------

FREAK - 괴이한, 하지만 유쾌한

장애에 대한 지독한 진실들의 8가지 이야기

--------------------------------------------------------------------------------

작품소개

1847년 영국의 잡지 ‘Punch’는 영국인들이 ‘기형‘과 ‘기괴함‘에 대한 호기심과 쾌락에 몰두하고 있다고 보도합니다.(출처. N. Durbach “Spectacle of Deformity”) 이는 당시 최고로 인기있는 쇼였던 <프릭쇼>에 많은 사람들이 열광해가고 있는 현상을 다룬 것이었습니다. <프릭쇼>에 출연하는 사람들은 영국의 식민지에서 잡혀온 유색인종, 샴쌍둥이, 지체장애인, 정신장장애인 등이었지요. 대부분 선천적인 ‘기형‘과 ‘비정상‘을 가진 이들이었는데, 영국인들은 이 사람들을 전시하고 관찰하고 관람했습니다.

2014년에 짓도 <프릭쇼>를 합니다. 이번 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의 공연은 ‘프릭’으로 지칭되었던 존재들이 과감하게 스스로를 다시 정의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프릭입니다. 그런데 짓의 프릭쇼는 도대체 뭘까요. 전시되고 관찰되었던 대상. 하지만 당신은 프릭이 아닌가요? 프릭이면 또 어떻다는 것인가요! 프릭이라고 명명되었던 대상. 이제 우리는 그 기이한 이름과 시선을 탈환하고자 합니다.

19세기의 세계는 우리를 괴물로 대했습니다. 20세기의 세계는 우리를 자선과 복지, 신적인 구원의 대상으로 대했습니다. 21세기에, 우리는 스스로에 대한 이름을 스스로 정하고자 합니다. 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의 이번 기획은 바로 우리의 이름을, 정체성을, 삶을 규정짓는 자들로부터 우리의 존재를 탈환하는 첫 번째 작업입니다.

공연개요

프롤로그 : 소개팅

1. 독립사건 (연출 한경훈, 배우 문영민)

2. 꿈 (연출 권도연, 배우 최하늘)

3. 현상수배 (연출 서지훈, 배우 신선해)

4. Over the Sea (연출 박환수, 배우 이원재)

5. 담 (연출 하은빈, 배우 서지훈)

6. 그런 시선 (연출 정지윤, 배우 남진영)

7. 가장보통의 존재 (연출 하은빈, 배우 이효진)

에필로그: 속에

--------------------------------------------------------------------------------

 

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이하 짓) 소개

‘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은 예술의 수단이자 목표로서 ‘장애’를 탐색, 사고하고, 장애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함께 모여 즐겁고, 매력적이고, 의미있는 공연을 만들고자 설립된 예술단체이다. ‘짓’은 ‘몸을 놀려 움직이는 동작’ 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짓’ 은 공연을 직접 기획, 제작하며, 장애를 가진 몸과 장애라는 정체성이 예술에 부여하는 함의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연구집단이기도 하다. 2013년 출발했고 2014년 1월 에밀졸라 원작의 <테레즈 라캥>을 각색하여 무대에 올렸다. 또한 <무대 위 장애예술 그 해석과 제안>이라는 장애예술 이론서를 발간하였다. 이 이론서에는 장애를 가진 관객과 배우들에게 열린 무대를 만드는 ‘매뉴얼’도 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