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LIG아트홀 부산 - 기획공연 <다페르튜토 부산>

2012. 12. 5. 03:22Review

 

LIG아트홀 부산 기획공연

 <다페르튜토 부산>

지역관객과 소통하는 공연예술

 

글_김나볏

 

연극의 3요소가 무대, 배우, 관객이라는 말은 지겹도록 들었다. 그런데 실제로 제작단계부터 관객을 배려하는 공연은 드물다. 대부분의 공연은 예술가의 머릿속 세계를 전시하듯 벌여놓기 일쑤다. 그런 방식이 무조건 잘못됐다는 얘기는 아니다. 예술의 시발점에서는 예술가가 모든 선택의 주체임이 당연하며, 또 예술가가 반드시 적극적인 소통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삼을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관객과의 소통을 염두에 둔 공연이 생각보다 적다는 얘기를 하고 싶다. 특히 지역의 공연이 그렇다. 해당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단체가 아닌 이상 지역의 관객을 특별히 배려한 경우를 찾아보기 힘들다. 서울에서 호평 받은 작품을 들고 지방 순회를 도는 경우가 대다수인 게 현실이다.

예술의 목적은 다양할수록 좋다. 제작단계부터 관객과의 소통을 고민에 둔 'LIG아트홀 부산'의 기획공연이 반가운 이유다. 지난 여름, 극장 측은 '연극이 관객과 진정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두 예술단체에 물었다. 그에 대한 답으로 부산을 기반으로 하는 극단 '팻브릿지'는 <생존의 법칙>을, 서울을 기반으로 하는 단체 '다페르튜토 스튜디오'는 <다페르튜토 부산>을 내놨다. 두 작품은 올 하반기에 차례로 'LIG아트홀 부산'에서 관객을 만났다.

이중 11월 말에 공연한 <다페르튜토 부산>을 보고 왔다. 일부 아쉬운 점이 있기는 하지만 지역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프로덕션을 꾸려나갔다는 데에 점수를 주고 싶다. 극단의 기존 작품 <다페르튜토 스튜디오>의 부산 버전이나 일반적인 순회공연과는 결이 달랐다. <다페르튜토 부산>은 일종의 지역연극적 성격을 띄고 있다. 비록 거리에서 공연을 하지는 않았지만 지역의 이야기를 담아 관객과 소통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앞서 '소통을 위해 관객과 같은 고민을 품어야 한다'는 답을 내놓은 부산 극단 '팻브리지'의 경우와도 약간의 노선 차이가 있다. 공연을 하는 지역과 모종의 관계를 맺는 것, 이것이 관객과 효과적으로 만나는 방법에 대해 '다페르튜토'가 내놓은 보다 구체적인 답인 셈이다.

 

 

<다페르튜토 부산>은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는 연극은 아니다. 꽉 짜여진 극, 만듦새가 단단한 극이 아니라 서사구조를 느슨하게 풀어놓은 극이다. 선보인 극의 개수도 무려 4가지나 된다. 극단은 '유령의 집', '암세포 삼형제', 'QR극장', '내일 자살해야지' 등의 공연 소품을 옴니버스식으로 선보였다. 4가지 극의 공통점은 우리 주변의 이야기들을 풀어내되, 관객이 극장적 환영에 매몰되지 않도록 하고 주위를 환기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는 것이다.

첫 번째로 선보인 '유령의 집'의 경우 공연팀이 부산지역 관객과 처음 관계를 맺기 위해 만든, 인트로 성격을 띄는 공연이다.

핑크색 천이 넓게 깔린 바닥에 가면을 쓴 배우 한 명이 등을 돌리고 앉아 금속 사발에 막대를 굴리며 소리를 낸다. 기묘한 풍경 속에 이윽고 안내인의 손에 이끌려 관객이 한 명씩 극장으로 들어온다. 영문도 모른 채 이끌려 들어온 관객 6명은 백남준 가면을 쓴 배우 앞에 앉아 술을 한 잔씩 나눠 마시고 미션이 적힌 종이쪽지와 함께 오드리 햅번, 찰리 채플린, 노무현, 알버트 아인슈타인,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등의 가면을 받는다. 그리고서 가면을 쓴 채 (당황스럽게도) 아이엠그라운드 게임을 한다.

진지한 눈초리로 이들을 지켜보던 나머지 관객들은 게임이 진행되면서 '죽지 않으려 애를 써 보지만 결국엔 한 명씩 죽어나가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목도하게 된다. 공연은 대체로 희극적인 분위기로 흘러가지만 부산과 인연이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퇴장 대목에서는 어쩔 수 없이 극장 안에 씁쓸한 기운이 감돈다.

 

 

이어지는 공연 중 '암세포 삼형제'와 'QR극장'은 부산이라는 대도시와 공연팀 간 관계를 맺는 데에 영상이라는 매개체를 적극 활용해 눈길을 끌었다. 무대 뒤편 큰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에는 부산의 거리와 사람들이 빚어낸 풍경, 그리고 공연의 지시문과도 같은 텍스트가 담긴다.

'암세포 삼형제'에서는 관객 중 한 여자와 사랑에 빠져 그녀에게서 떨어질 줄 모르는 막내 동생을 찾아 바다를 건너오는 형제들의 모습이 그려지는데, 배우 중 두 명이 아예 극장 바깥에서부터 등장한다. 이 모습은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스크린에 실시간 중계된다. 얼굴에 흰색 칠을 하고 무사 복장을 한 배우들이 거리에서 방황하면서 시민들과 실시간으로 관계를 맺는 모습이 무척 흥미롭다. 연출이 스크린에 적어 내려가는 텍스트를 보며 연기를 펼치는 배우들의 모습도 극의 현장감을 살리는데 일조한다.

'QR극장'은 여러 작품 중 가장 지역을 의식하고 만든 공연이었다. 극장 곳곳의 QR코드 속에는 추억의 장소에 관한 부산 시민들의 인터뷰 모습, 그리고 그곳에 직접 찾아가는 배우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관객들은 극장에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고 영상을 감상한다. 동래고 앞 태화반점, 암남공원 첫 키스 장소, 자갈치 시장 부둣가 등 약 80개의 공간과 배우들의 퍼포먼스가 관객의 손 안에서 펼쳐진다.

재기발랄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영상과 연극의 경계를 아슬하게 지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인 공연이었다. 그러나 현장에서 공연팀이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 중에는 그저 단순한 방문에 그친 장면이 많았다.

 

 

마지막 공연인 '내일 자살해야지'에서는 거울을 보며 면도를 하다가 문득 '내일 자살해야지'라고 말하는 배우들의 모습이 희극적으로 그려진다. 배우들은 관객석 쪽을 거울로 삼아 연기를 하다가 급기야 마주보며 서로의 모습을 복제한다. 마지막에 어린이 한 명까지 합세해 서로의 모습을 무한 복제하다가 공연은 막을 내린다. 공연 자체는 흥미로웠지만 극단이 예전에 만든 작품에다 부산 출신 어린이를 등장시켰다는 이유로 '다페르튜토 부산'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다소 안일한 선택이 아니었나 싶다.

부산지역과의 첫 대면인 만큼 공연팀이 억지로 꾸민 거짓을 이야기하기보다는 지역에 대해 아는 만큼, 본 만큼 담백하게 풀어낸 점은 칭찬 받을 만하다. 극단의 이름이자 공연제목인 '다페르튜토(Dappertutto)'처럼 극단의 정체성을 해하지 않고 '어디로나 흐르는' 공간맞춤형 공연을 선보인 점도 흥미로운 대목이다.

다만 특정 지역의 고민과 문제점, 주장을 담기 보다는 지역민들의 기억을 공유하는 데 머물렀다는 점이 아쉬운 대목으로 남는다. 지리적, 시간적 장벽 탓에 프로덕션을 충실히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저 여기저기 흘러갈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기보다는 때로는 잠시 머물렀다 흐를 수 있는 여유가 공연팀에 필요하다. 그래야 관객과도 진정한 관계를 맺을 확률이 높아지지 않을까. 이것은 비단 관객과의 소통에 관심이 있는 예술가뿐만 아니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극장이 짊어진 묵직한 과제이기도 하다.

 

 필자_김나볏

 소개_연극과 신문방송을 공부했다. 무대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공연예술, 그리고 공연과 관련한 글쓰기 작업에 관심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