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丙소사이어티 <저한테 왜 그러세요>-병은 오늘도 병맛을 봅니다

2014. 3. 11. 16:51Review

  

병은 오늘도 병맛을 봅니다

- 丙소사이어티 <저한테 왜 그러세요>


 

글_김연재



저한테 왜 그러세요당하는 사람은 억울하겠지만 지켜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재미있을 것 같은 제목이다. 물론 그 웃음은 뒤돌아서면 유쾌하지 않지만, 극단 의도대로 관객들은 많이 웃었다. 연극의 기능은 이런 것인가. 일상에서 겪는 억울한 일들을 가볍게 웃고 넘길 수 있도록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 그리고 다시 일상에서 억울한 일을 겪고 ! 나만! ! 나한테 도대체 왜 그러는 거야?”를 연발하게 만드는 것?

물론 공연 제목은 겸손하다. ‘라며 자신을 최대한 낮춘다. 상대방과 친하지 않은 불편한 사이이거나 화자가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왜 그러세요는 무력하고도 두려움에 떨고 있는 말이다. 제대로 항의도 하지 못하고 분노를 표출하지도 못한 채로 제발 멈춰줬으면 좋겠다고 상대방에게 아주 소심하게 부탁한다. 화자는 상황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영향을 받기만 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애원하는 것밖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그리고 이유도 모른 채로 당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상대방이 왜 나한테 피해를 주는지 전혀 원인을 알지 못하는 답답함도 느껴진다. 사실, 원인이 화자에게 없을 수도 있다.

 




갑에 대한 보고서

 

공연은 전체 3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막마다 배우는 세 명이 등장하고, 돌아가면서 한 번씩 의 역할을 맡는다. 어떤 배우든 의 역할을 하게 되면 들의 싸움을 무시하거나 비난한다. 누구나 갑이 되면 의 상황은 나 몰라라 하게 된다. 왜 그럴까? 결국 구조의 문제라는 것을 세 가지 사례들을 통해 명확하게 보여준다.

3막 모두 특정 공간에서 한 사람이 두 사람을 가르치는 관계를 보여준다. ‘은 공간을 마련하고, 공간의 규율을 정할 수 있으며 에게 호통을 칠 수 있다. 일방적으로 두 사람을 제압할 수 있는 힘은 에게만 있다. ‘은 아무런 선택 권한이 없으며, ‘의 눈치를 보면서 계속 불편을 겪는다. ‘이 제공하는 공간에서 생기는 문제 때문에 들은 서로 싸우다가 결국 상대방에게 저한데 왜 그러세요를 억울하게 외치고 끝난다. ‘에게는 아무 소리도 못한다.

 


서로 배려하면 해결될 거에요?


1막이 전개되는 공간은 대학 강의실이다. 맨 왼쪽에 교수 강단이 있고 그 옆에 일렬로 놓인 첫 번째는 의자는 빈자리, 두 번째는 남학생이 앉고, 세 번째 의자에 여학생이 앉는다. 교수는 고상한 말투와 손짓을 섞어가며 미술 교과를 강의한다. 문제는 강의실 책상 때문에 일어난다. 강의실 책상은 좀 특이하게 생겼다. 의자와 책상이 붙어있는 구조이긴 한데, 의자 등받이 뒤편에 책상이 붙어있다. 그래서 책상을 사용하려면 앞사람 의자에 바싹 다가가서 앉아야 한다. 강의실 공간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지만, 학생들은 불편하다. 하지만 불편을 호소하지 못한다. 단지 앞사람 등을 콕콕 찔러 말한다. “저기요, 움직이시면, 책상이 흔들려요.”, “저기요, 그쪽이 자꾸 움직이니까 제 필기 글씨가 삐뚤어지잖아요.”

책걸상을 바꿔 달라고는 하지 못하고, 애꿎은 앞사람만 찌른다. 이때부터 수업은 귀에 들리지 않는다. 수업을 듣기 위해 강의실에 앉아있지만 신경은 잔뜩 앞사람과 뒷사람에 쏠린다. 앞사람은 뒷사람이 계속 주의를 줬기 때문에 움직일 때마다 피해를 줄까 봐 신경이 쓰이고, 뒷사람은 괜히 자신이 싫은 소리만 하는 사람인가, 너무 민감한 사람인가 걱정을 한다. 강의실 때문에 생긴 문제를 둘이 해결하려고 하는데, 책상이 바뀌지 않는 한 절대 해결할 수 없다. 그러니 저한데 왜 그러세요.”라는 말밖에 할 수 없다.

 


마음의 문제

 

2막은 요가원. 강사는 요가 매트 위에서 체위를 알려주고, 수강생들은 뽁뽁이(포장용 에어캡) 위에서 체위를 따라 한다. 당연히 소리가 날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강사는 마음의 문제라며 수강생을 다그친다. 뽁뽁이가 터지는 소리는 부정한 소리라고 판단하며, 부정한 소리의 근원인 부정한 마음을 다스리라며 주의를 준다. 관객들이 웃는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었다. 강사의 요구는 누가 봐도 불가능한 것이다. 소리가 날 수밖에 없는 매트(뽁뽁이)를 마련했으면서, 소리를 내지 말라고 한다. 계속해서 부정한 마음이 내는 소리라는 억지스러운 말만 하는 요가 강사는 절대 매트의 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 요란스러운 소리의 근원은 오직 수강생의 부정한 마음이라고 단정 짓는다.

-society는 여기서 완성된 게 아니다. 함께 강의를 듣는 수강생 중 한 명은 마치 자신이 강사와도 같은 위치에 있는 듯이 행동한다. 강사가 옆사람을 지적할 때마다 째려보거나 못마땅하다는 표정을 지으면서 함께 비난한다. 본인도 강사에게 지적을 받고, ‘부정한 소리를 내면서도 옆 사람과 연대해서 매트 교체를 요구하기는커녕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을 비난한다. 함께 비난함으로써 자신은 비난받는사람이 아닌, 비난하는사람이 된다. 그러나 마음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자기계발서를 보며 힐링하면 좀 나아질까?

 




제한된 병의 공간

 

3막 장소는 발레 학원. 무대 중앙에 안전 고깔과 고무줄로 네모난 경계를 만든다. 네모난 경계 안은 한 명이 팔을 뻗으면 꽉 차는 공간이다. 그 안이 바로 발레 학원이다. 무대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굳이 경계 안에서만 연기를 한다. 쉽게 넘을 수 있는 고무줄과 플라스틱 안전 고깔로 허술하게 경계를 만든 것이 더욱 극적인 모습을 연출해낸다.

발레는 다리를 쭉쭉 뻗을 수 있어야 하는데, 두 학생이 일인용 공간에서 팔다리를 뻗으니 서로 부딪힐 수밖에 없다. 부딪히니 연습에 방해가 되고, 선생님께도 지적을 받는다. 좁은 공간에서 입시생끼리 신경전을 벌인다. 서로를 더 밀치려고 한다. 강사에게 공간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자 입시라는 큰 목표를 위해 연습만 생각하라는 말만 듣는다. 이내 두 학생은 감정싸움을 한다. ‘, 내가 상 받아서 이러는 거지?’

 



무대는 3막 모두 간소했다. 책걸상과 뽁뽁이, 안전 고깔로 장소를 설정하고 갈등도 만들어내고 웃음도 유발해냈다. 무엇보다도 소사이어티가 드러내고자 하는 문제점이 시각적으로 드러났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단출한 무대에서 벌어지는 웃긴 상황을 보면서 부담없이 웃고, 극장을 나와서는 자기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 연극이다. 많은 연극인이 선망하는 연극이다. 볼 때는 즐겁게, 보고 나서는 곱씹어볼 수 있는 연극.

무대도 훌륭했지만 무엇보다도 제목을 잘 지어냈다. 막이 끝날 때마다 한 번씩 듣게 되는 저한테 왜 그러세요’. 갑은 꿈도 못 꾸고 을조차 되지 못하는 이라는 위치에서 겪을 수 있는 답답함과 비애, 서러움, 묵혀놓은 짜증을 한 번에 폭발시킨 찌질한 말 한마디 저한테 왜 그러세요”. 참고 참다가 하는 말이 고작 왜 그러세요라니.

단지 평화를 원하는 은 세상이 자신을 가만히 내버려두기만을 바라는 소극적인 인간이다. 하지만 은 절대 평화롭게 살 수 없다. ‘의 처지는 항상 누군가에 의해서 결정지어지기 때문이다. ‘……이라는 구조에 갇힌 병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자기계발서를 보며 마음을 다스리고, 타인을 배려하는 방법을 배울 것인가? 아니면 책상을 바꾸고, 요가 매트를 바꾸고, 연습실을 바꾸고, 들의 사회를 바꿀 것인가!

앞으로 저한테 왜 그러세요라는 외침이 어디로 향할지, 어떻게 변용될지, 극단 소사이어티가 앞으로 어떤 사회를 보여주게 될지 궁금하다.


필자_김연재

소개_연극은 좋아합니다. 

 

 

연출_ 송이원

출연_ 류효은, 조우희, 정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