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리뷰(35)
-
[리뷰] 런닝머신 위의 아버지 - 극단 성북동 비둘기 「세일즈맨의 죽음」
런닝머신 위의 아버지 - 극단 성북동 비둘기 「세일즈맨의 죽음」 글_조형석 다소 연극무대로 보기 어려운 장소. 사방이 노출시멘트로 되어있고 말이 텅텅 울리는 지하. 관객들 사이에 단지 런닝머신과 마이크와 조명이 놓여져 있을 뿐이다. 무언가 빠르게 진행된다. 숨 가쁘고 정신없다. 한 남자가 런닝머신 위에서 계속 뛴다. 무척이나 답답하고 빠른 비트의 음악이 반복된다. 그 뒤에는 밤의 도시를 달리는 차량들, 고층 아파트, 럭비 경기 모습, 많은 시계들 그리고 TV가 영상을 통해 반복 재생된다. 그 남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가족들이 나온다. 런닝머신 위에서 달리는 그 앞에서 그들은 제각각이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하소연을 한다. 아버지로 보이는 그 남자는 다소 무덤덤한 표정이나 흐뭇하게 미소도 지었다가 인상도 ..
2010.12.15 -
[리뷰] 공통의 기억, 따돌림 - 파사 무용단 「서랍속의 시간」
공통의 기억, 따돌림 파사 무용단 글_가재 0 대형커튼이 걷히자, 책상이 반듯하게 줄 서있었다. 익숙한 교실의 모습. 1분단 세 번째 줄에 앉은 그가 몸부림을 치기 시작했다. 그는 교복을 입고, 책상에 앉아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고 있었다.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혼자인 채, 아무 말도 않고. 이리저리 따로 움직이던 팔다리는 결국 말 한마디를 빚어낸다. 점점 들려오는, 아니 내 살결에 닿아오는 몸의 소리. “나…, 왕따예요…….” 그렇게 침묵, 이 들리기 시작했다. 1 공연 은 내가 본 다섯 번째 무용 공연이다. ‘청소년 감성 프로젝트’란 부제가 달린 이 공연은 학교를 무대로 이야기를 끌고 간다. 누구나 가진 학창시절의 공통의 기억들을 되짚어가지만, 그 사이로 전혀 공감할 수 없는 이질적인 기억 하나를 ..
2010.12.13 -
[리뷰] 남산예술센터 공동연작프로젝트 - 용감하지도, 선명하지도, 날카롭지도 않은「너의 왼손」
2010 남산예술센터 공동연작 프로젝트 용감하지도, 선명하지도, 날카롭지도 않은 「너의 왼손」 글_ 아키꼬 아마도, 조금 과장해서, 10년 전쯤 봤던 만화책이었을 거다. ‘세계 3차 대전이 발발한다면 그것은 종교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종교는 단지 보기 좋은 명분일 뿐이다. 모든 역사를 통틀어 전쟁은 경제적인 이유에서 발발된다’는 명쾌한 정의를 보았던 것은. 정확하진 않지만 대충 이런 뉘앙스였다. 합법적 학살을 자행하는 ‘전쟁’의 기저에는 인간의 ‘탐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화책에서 다룰 만큼 속보이는 전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단발마의 비명과 고함과 함께 은 서울 명동역에서 벌어지는 한 여인의 권총 인질극으로 시작된다. 요즘 유행하는 드라마 ‘대물’의 여주인공 ‘서혜림’처럼 연극의 여주인..
2010.12.03 -
[리뷰] 2010한국마임 극장공연 리뷰 - 「감옥」두번째 이야기
2010한국마임 극장공연 리뷰 「감옥」 두번째 이야기 최경식 - 마르셀마르소를 그리며 극단 마음같이 - 우리는 이렇게... 글_ 조원석 우석레퍼토리극장 앞, 원석과 동이가 만났다. 둘은, 둘 다 잠바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었다. 눈인사도 하지 않았고, 악수도 하지 않았다. ▲ 최경식 - 마르셀마르소를 그리며 “ 는 그림 같고, 는 사진 같다.” 극장을 나서며 원석이 처음 꺼낸 말이다. “왜?” 동이는 궁금하지 않았다. “ 그냥, 그런 느낌이 들었어. 그림은 화가가 중요하고, 사진은 대상이 중요하다고 할까? 는 공원이나, 서커스 극장의 풍경 속에서 화가가 느낀 감정을 표현했다고 한다면 는 제목 그대로 우리가 사는 모습들을 재현했다고 봐. 에게 마임은 화법이야. 마임이라는 화법으로 그린 공원과 눈으로 보는 ..
2010.12.02 -
[리뷰] 이미 오래전의 이야기 - 원더버드 공연을 보고
이미 오래전의 이야기 - 원더버드 공연을 보고 글_ 조웅 도심속의 상큼한 페스티발을 지향하는 2010 GMF엔 누구더라...? 음... 아! teenage fanclub이 왔다. 그리고 이소라도 나왔고, 에...또 언니네 이발관, 일본에선 하바드havard(얘들은 하바드 출신인건가?) 가 왔다. 또 단골 출연팀인 페퍼톤스도 빼놓을 수 없겠지. 나는 2010 GMF에 갔었다. 하루만. "집에서 멀지만 오가는 피곤함을 견딜만큼 날 유혹한 팀은 누구였을까요?" 바로 바로 바로... '원더버드'. 하하 난 원더버드를 보러 GMF에 갔다. 원더버드가 누구인가? 신윤철과 고구마 박현준과 손경호이다. 서울전자음악단과 문샤이너스의 신윤철과 손경호를 제외하고는 사라져버린 그들의 과거밴드, 옛날밴드, 옛날사람이다. '삐삐..
2010.11.26 -
[리뷰] 청사진을 풀어 헤치는 워크맨 주술사에게 -「온다 아키 Aki Onda」
청사진을 풀어 헤치는 워크맨 주술사에게 백남준 아트센터 국제퍼포먼스 프로그램 시간, 공간, 그리고 퍼포먼스를 넘어 Out of Place,Out of Time,Out of Performance 4주차 아티스트 - 온다 아키 Aki Onda 글_ 나나기타 Cassette Memories Photo by Maki Kaoru 출처: akionda.net 이것만은 알고 있어야한다. 카세트테이프는 아날로그의 마지막 증표였다. 3.81mm의 자기 테이프와 두 개의 릴을 하나의 카트리지에 넣은, 플레이어에 따라 음질의 차이가 크며 히스잡음(녹음테이프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자기 테이프 특유의 씨익싸악하는 잡음을 가리키며, 녹음되어 있는 내용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레벨로 나타나기 때문에 녹음 레벨이 낮은 부분이나 무음..
2010.11.18